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에 대한 모든 것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일반 신고기한부터 예외 상황, 필요한 증빙서류까지! 상속세 신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 문제에 부딪힐 수 있는지까지 꼼꼼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목차
납세자가 자주 묻는 상담사례 Top 10 - 상속세6
Q6.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만약, 상속인들 간의 분쟁으로 인해 재산분할이 늦어지게 되면 신고기한을 연장할 수 있나요?
A6.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다만, 유언집행자 또는 상속재산관리인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지정되거나 선임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되거나 선임되는 날부터 6개월 이내이며, 피상속인이나 상속인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입니다.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에 대한 추가적인 예외규정은 없기 때문에 상속인들간의 분쟁으로 인해 재산분할이 늦어지게 되더라도 신고기한은 연장되지 않습니다.
길라잡이
● 신고기한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인 ‘상속인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라 함은 상속인 전원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상속세 및 증여세법 기본통칙 67-0…1)를 말하며, 상속인 중 1인이라도 국내에 주소를 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상속개시일부터 기산하여 6월 이내로서 이에 대한 예외를 규정한 바가 없습니다.
(서면인터넷방문상담 4팀-2549, 2007. 8. 31.)
● 관련 법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7조
필요한 증빙서류
- 상속세 신고서
- 상속재산 명세서
- 상속인 명세서
- 상속재산 평가서
'부동산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재산 평가 시 인정되는 시가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0) | 2023.10.22 |
---|---|
상속세를 몇 년에 걸쳐 나누어 납부할 수 있나요? (0) | 2023.10.22 |
피상속인과 같이 동거한 자녀가 주택을 상속받게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나요? (0) | 2023.10.21 |
피상속인의 사망 전에 미리 증여하면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게 되는 것인가요? (0) | 2023.10.21 |
상속세: 배우자나 자녀가 상속을 포기할 때의 배우자상속공제와 인적공제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