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by 프로도 부인 2023. 10. 22.
728x90
반응형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에 대한 모든 것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일반 신고기한부터 예외 상황, 필요한 증빙서류까지! 상속세 신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 문제에 부딪힐 수 있는지까지 꼼꼼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목차

     

    납세자가 자주 묻는 상담사례 Top 10 - 상속세6

    Q6.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만약, 상속인들 간의 분쟁으로 인해 재산분할이 늦어지게 되면 신고기한을 연장할 수 있나요?

    A6.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다만, 유언집행자 또는 상속재산관리인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지정되거나 선임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되거나 선임되는 날부터 6개월 이내이며, 피상속인이나 상속인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입니다.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에 대한 추가적인 예외규정은 없기 때문에 상속인들간의 분쟁으로 인해 재산분할이 늦어지게 되더라도 신고기한은 연장되지 않습니다.

    길라잡이

    ● 신고기한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인 ‘상속인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라 함은 상속인 전원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상속세 및 증여세법 기본통칙 67-0…1)를 말하며, 상속인 중 1인이라도 국내에 주소를 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은 상속개시일부터 기산하여 6월 이내로서 이에 대한 예외를 규정한 바가 없습니다.
    (서면인터넷방문상담 4팀-2549, 2007. 8. 31.)
    ● 관련 법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7조

    필요한 증빙서류

    • 상속세 신고서
    • 상속재산 명세서
    • 상속인 명세서
    • 상속재산 평가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