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1세대 1주택 고가주택 양도소득세 계산법

by 프로도 부인 2023. 11. 8.
728x90
반응형

1세대 1 주택 고가주택 판매 시 양도소득세 계산법을 쉽게 설명합니다. 장기보유특별공제와 필요 서류 준비 방법도 알려드려요.

1세대 1주택 고가주택 양도소득세 계산법
1세대 1주택 고가주택 양도소득세 계산법

목차

    주택을 팔 때 가장 고민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양도소득세, 일명 '양도세'입니다. 특히 1세대 1 주택 고가주택을 판매할 때는 계산 방법이 더 복잡해지죠. 오늘은 이 복잡한 양도소득금액 계산법을 풀어드리려고 해요. 서민의 마음으로, 한 푼이라도 더 아끼고 싶은 마음을 담아 설명해 볼게요.

    양도소득세 계산, 이렇게 시작해 봅시다.

    먼저, '고가주택'이란 무엇일까요? 바로 주택과 그 부수토지를 합쳐서 실거래 가액이 12억을 넘는 집을 말해요. 이런 집을 팔 때는 전체 양도차익 중 12억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게 됩니다. 쉽게 말해, 12억 이하의 이익은 세금 걱정 없이 주머니로 쏙!

    ■ 1세대 1 주택으로서 고가주택(그 부수토지 포함)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체 양도차익 중 12억 원(양도일이 ’ 21. 12. 7. 이전은 9억 원, 이하 같음)을 초과하는 부분에 상당한 양도차익에 대하여만 과세하고 12억 원 이하에 해당하는 양도차익은 과세하지 않습니다.
    ※ 고가주택 : 주택 및 이에 부수되는 토지의 양도당시 실지거래 가액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것

    고가주택 계산법
    고가주택 계산법

    계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예를 들어, 2022년 1월에 15억에 집을 팔았다고 칩시다. 취득가격이 8억이고, 기타 필요경비가 3천만 원이었다면?
    (1) 양도일:2022.1.3. 취득일:2006.5.7.
    (2) 양도실까:15억 원, 취득 실까:8억 원, 기타 필요경비:3천만 원
    * 보유기간 중 10년 이상 거주

    풀이

    (1) 전체 양도차익계산 : 15억 원 - 8억 원 – 3천만 원 = 6억 7천만 원
    (2) 과세대상 양도차익의 계산:6억 7천만 원 × (15억 원 - 12억 원) / 15억 원 = 1억 3천4백 만 원
    (3) 공제할 장기보유특별공제액 계산:(6억 7천만 원 × 80%) × (15억 원 - 12억 원) / 15억 원 = 1억 7백2십만 원
    (4) 과세대상 양도소득금액 : 1억 3천4백만 원 - 1억 7백2십만 원 = 2천6백8십만 원

    장기보유특별공제, 놓치지 마세요!

    장기보유특별공제라는 게 있어서, 10년 이상 거주했다면 양도차익의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실제 과세되는 금액은 2천6백8십만 원으로 줄어드는 거죠.

    세금 신고, 이렇게 준비하세요.

    이제 세금 신고를 위해 준비해야 할 서류들이 있어요. 취득 당시의 매매계약서, 취득가격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필요경비를 증명할 수 있는 영수증 등이 필요하겠죠. 이 모든 서류를 꼼꼼히 준비해서 세무서에 제출하면 됩니다.

    마무리하며...

    양도소득세 계산,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한 걸음씩 따라오셨다면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오시죠? 세금은 우리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오늘 제가 드린 팁을 잘 활용해서, 여러분의 주머니를 지키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