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부담부증여는 왜 양도소득세를 신고 ·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by 프로도 부인 2023. 11. 4.
728x90
반응형

부담부증여는 왜 양도소득세를 신고 · 납부해야 하는지 궁금하시죠? 부담부증여를 통한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증여세 계산, 국세청의 세금법규 이해, 재산이전 절차까지, 세금 절약의 모든 정보를 알려드려요. 세금 문제는 어렵다고만 생각하시죠? 하지만 조금만 주의 깊게 들여다보면, 우리에게 유리한 절세 팁이 숨어있답니다!

부담부증여는 왜 양도소득세를 신고 ·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부담부증여는 왜 양도소득세를 신고 ·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목차

 

세금법규 쉽게 이해하기: 부담부증여를 통한 양도소득세 절세 요령

먼저, 양도소득세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양도소득세는 재산을 팔아 이익을 볼 때 내는 세금이에요. 자산이 등기 또는 등록과 관계없이 매도, 교환,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등의 방법으로 사실상 유상 이전되는 경우 양도소득세가 과세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부담부증여'라는 말이 나오죠. 이건 무엇일까요? 증여받은 재산에 담보된 빚을 함께 인수하는 경우를 말해요. 이 경우, 빚의 액수만큼은 재산이 유상으로 이전된 것으로 간주된답니다.

따라서,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재산을 채무와 함께 증여하는 경우에는 증여(증여재산가액-채무액)에 해당될 뿐만 아니라 양도(채무액)에도 해당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담부증여를 할 때는 증여세와 양도소득세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해요.

예를 들어보죠. 아버지가 아들에게 아파트를 증여하는 상황을 가정해 볼게요. 일반 증여와 부담부증여, 두 경우에 따라 세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해 볼 필요가 있어요.


2015년 1월 1일 아버지가 2억 원에 취득하여 보증금 2억 원에 전세를 주고 있는 아파트를 아들에게 2021년 1월 1일 증여할 경우에 일반증여와 부담부증여를 비교해 보자. 이때 양도소득세 계산 시 시가는 5억 원이고 1세대 1 주택, 비조정지역 내, 기타 필요경비 등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 일반증여 시 납부할 세액: 7천760만 원

일반증여 시 납부할 세액
일반증여 시 납부할 세액

◆ 부담부 증여 시 납부할 세액: 6천503만 원

부담부 증여시 납부할 세액
부담부 증여시 납부할 세액

 

일반 증여를 할 경우, 아들은 증여세로 7천760만 원을 내야 해요. 하지만 부담부증여를 하면, 아들은 증여세로 3천880만 원, 아버지는 양도소득세로 2천623만 원을 내게 되죠. 이렇게 부담부증여를 통해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거예요.

참고로 국세청에서는 부담부증여 시 수증자가 인수한 채무에 대하여 전산에 입력하여 사후관리하고 있으며 입력된 사후관리대상 부채를 매년 1회 이상 검증을 하고 있어요.
부채를 사후관리 하는 이유는 수증자가 부채를 실제로 인수한 것인지를 확인하여, 그 상환자금의 출처는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죠.
특히, 미성년자의 부채상환자금에 대해서는 자금출처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여 증여세 탈루여부를 철저히 검증하고 있답니다.

이제 관련 법규를 살펴볼까요?

소득세법 제88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7조, 그리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6조가 이와 관련된 법규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