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증여재산공제로 상속세 줄이기!

by 프로도 부인 2023. 10. 14.
728x90
반응형

증여재산공제로 상속세를 줄이는 방법! 증여세와 상속세의 차이와 증여재산공제의 활용법을 알아보세요. 사망하기 10년 전에 증여하는 것의 중요성도 확인하세요!

증여재산공제로 상속세 줄이기
증여재산공제로 상속세 줄이기

 

 

목차

    증여재산공제 한도 내에서 배우자나 자녀에게 미리 증여를 해두자.

    남편 소유 재산을 사전에 부인이나 자녀에게 증여하면 상속재산이 줄어들게 되므로 당연히 상속세도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증여를 하면 증여세가 과세되고, 일정기간 내의 증여재산은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재산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증여의 효과가 없으므로 이를 충분히 검토해 본 후 증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거주자인 수증자가 증여를 받은 때에는 다음과 같이 증여재산공제액을 과세가액에서 공제해 주고 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증여일이 2013년 12월 31일 이전인 경우 3천만 원(수증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15백만 원)
    ✽✽증여일이 2015년 12월 31일 이전인 경우 직계비속은 3천만 원, 기타 친족은 5백만 원
    - 위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10년간의 누적한도액임
    - 증여자가 직계존속이면 그 배우자도 동일인에 해당함
    - 기타 친족: 배우자, 직계존비속을 제외한 6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따라서 2014년 1월 1일 이후 증여분부터 배우자에게는 6억 원, 자녀에게는 5천만 원(미성년자인 경우에는 2천만 원)의 범위 내에서 증여를 하면 증여세를 내지 않고서도 상속세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사망하기 전 10년 이내에 피상속인이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의 가액은 상속세 계산 시 이를 합산하므로 증여재산공제의 효과가 없다는데 유의하여야 한다.

    상속을 받을 때나 누군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하는지 궁금하셨죠?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증여를 할 때의 세금, 즉 '증여세'와 사망 후 상속받는 재산에 대한 세금, 즉 '상속세'는 다르다는 것!

    증여를 하면 증여세가 발생하는데, 이 증여세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증여재산공제'랍니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증여를 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사망하면, 그 증여한 재산은 상속세 계산에 포함된답니다. 그래서 증여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려면, 사망하기 10년 전에 증여를 해야 해요.

    예를 들어 30억 원의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녀 2명이 있는 사람이
    1) 사망하기 전 10년 전에 자녀에게 5억 원을 증여하고 사망했다면 상속세 과세표준은 20억 원(상속재산 25억 원-일괄공제 5억 원)이 되고 이에 대한 상속세의 산출세액은 6억 4천만 원이 되나,
    2) 사망하기 전 10년 이내에 자녀에게 5억 원을 증여하고 사망했다면 상속세 과세표준은 25억 원(상속재산 25억 원+상속개시 전 10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 5억 원 -일괄공제 5억 원)이 되며 이에 대한 상속세의 산출세액은 8억 4천만 원이 되어 증여를 하지 않은 것과 같다.

    이렇게 증여재산공제를 활용하면, 상속세를 줄일 수 있어요. 하지만 반드시 사망하기 10년 전에 증여를 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 관련 법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3조, 제26조, 제53조

    728x90
    반응형